PART Ⅲ. 현실주의
SECTION 2: 지정학이론
* 이론들/시사이슈 정리 중요
○ 지정학이란?
- 지리적 공간의 정치적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 지리가 맞닿아 있는 유럽에서 발전함.
○ 이론가들
1. 알프레드 마한: Sea power 이론 (해양력을 강조함: 해군력+해운)
1) 대양해군 건설
2) 하와이를 식민지로
3) 해외 기지 확보
4) 파나마 운하 건설
2. 매킨더: 대륙세력을 강조/ 심장지역(Heart land) 개념 도입
- 심장지역(동유럽~러시아와 중앙아시아~시베리아)는 핵심 심장지역.
- 2중 장벽: 독일 -영국이 프랑스와 러시아를 견제하는데 독일이 중요.
3. 스파이크만: 주변지역(Rimland) 이론 주장.
- 1944년(2차대전 中) 쓴 『평화의 지리학』에서 심장지역과 주변지역의 결합 방지 필요성 주장
- 미국 조지 케난의 봉쇄정책에 영향
○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
- 일대: 육상실크로드 전략 (중국→중앙아시아→유럽)
※ 시안을 기점으로.
- 일로: 해상실크로드 전략 (방글라데시→스리랑카→파키스탄→탄자니아)
※ 취안저우와 광저우를 기점으로.
※ 인도는 포함되지 않는다.
- AIIB(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일대일로 전략을 위한 자금 모집
○ 중국의 진주 목걸이 전략 vs 미국의 다이아몬드 전략
- 진주목걸이 전략: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상징적으로 비유. (공식적인 전략이 아닌 비공식적) 인도 없음.
cf. 다이아몬드 전략: 미국, 일본, 호주, 인도가 연결. 트럼프의 인도·태평양시대
○ 남중국해 영토분쟁
[참고]
영어로 하면,
- 시사군도: 파라셀 군도
(중국 vs 베트남)
- 난사군도: 스프래틀리 군도
(중국 vs 말레이시아 vs 브루나이 vs 필리핀 vs 베트남)
- 중사군도 內 유명한 섬: 스카보러 섬
(중국 vs 필리핀)
※ 인도네시아는 이 분쟁에 포함되지 않는다.
1) 중국 vs 필리핀
- 스카로보 섬(중사군도) 분쟁. 국제중재재판소(PCA)에 영토 분쟁 의뢰(2013.1)
→ 필리핀 승소(2016.7-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 법적 근거 없다 판결)
2) 중국 vs 베트남
- 시사군도(파라셀) 분쟁
○ 중국 도련선 전략
: 1980년대 구성된 도련선 전략(섬을 연결하는 전략). for 동아시아 內 패권확장과 미국 해양세력 접근 막기 위해.
○ 일본의 대동아공영권
- 2차세계 당시 일본이 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침략하며 내세운 정치 슬로건. 아시아 지역에서 공존공영의 신질서를 세운다는 기치 아래 전쟁을 정당화함.
- 3개의 동심원으로 구성됨.
① 내역 혹은 내권: 일본, 조선, 만주를 포함하여 연해주, 상하이 등
② 소동아: 중국과 시베리아, 인도네시아, 인도차이나
③ 대동아: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태평양열도
○ 그레이트 게임(Great game)
- 서구 열강이 전세계를 식민지로 만들면서 땅따먹기 싸움을 하던 제국주의 시대(19세기~20세기 초)에 러시아 제국의 부동항 진출을 막기 위해 영국과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이 벌인 전쟁.
전투 측면에서 보면 영국 vs 아프카니스탄이지만, 크게 보면 바다를 향해서 남하하는 러시아 제국 vs 전세계의 제해권을 쥔 영국
- 영국-아프간 전쟁은 총 3차.
1차: 1839~1842 (이시기에 영국과 청나라가 아편전쟁을 벌임)
2차: 1878~1880
3차: 1919 (1차 세계대전 끝난 직후)
+ New great game: 미국 vs 중국
○ A2AD 전략
- Anti-Access Area Denial 전략(반접근 지역 거부)
항공모함의 해안 접근을 막고 해안에서 일정 범위 안의 적 해상전력은 철저히 분쇄한다는 것.
- 미국이 중국의 전략을 분석한 것이다. (중국이 공식화한 안보 전략 아님!)
- 내용: 중국한테는 ① 미국의 항공모함을 방어하면서 ② 미국이 미국 동맹국가들을 지원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함.
따라서 미국 동맹국가들을 고립시켜 미국의 해군이 접근하지 못한다면, 이들 국가들은 중국의 공격을 버텨낼 수 없게 됨.
(관련 시사 기사)
news.joins.com/article/23694280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2025년 미국 ‘유령함대’와 중국 항모전단이 맞선다
유령함대는 중국이 배타적으로 고집하는 제1도련선 안쪽 해상을 휘젓고 다니며 중국 탄도미사일 기지와 항모를 타격할 수 있다. 무인함정 가운데 미 해군이 우선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시험용 �
news.joins.com
○ 미국의 공해전 전략
- 중국의 A2AD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전략.
- 육군, 공군, 해병대가 합동 전력을 구축해 게릴라전에 가까운 전투를 수행하면서 원거리타격능력을 키운다는 것임.
* 중국의 대만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으로 한정된 전략은 아님. 지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전략.
'국제정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정치 #1-6. 상대적 국력가설 (1) | 2019.10.28 |
---|---|
국제정치 #1-5. 세력균형이론 vs 패권관련이론 (0) | 2019.10.27 |
국제정치 #1-4. 구조적 현실주의 (2) | 2019.10.25 |
국제정치 #1-2. 현실주의의 사상적 계보&고전적 현실주의 (0) | 2019.10.23 |
국제정치 #1-1. 국제정치의 기초&주요개념 (2) | 2019.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