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Ⅱ. 국제정치의 기초


SECTION 1: 국제정치학이란 무엇인가?

 

국제정치는 평화와 안정을 다루는 학문.

 

여기서 평화의 2가지 의미

소극적 평화(전쟁이 없는) vs 적극적 평화(차별, 억압과 같은 구조적 폭력이 없는)


○ 국제와 세계 구분하기

 

국제(INTER-NATION-AL): 국가들간의 관계. 비국가행위자를 강조하지 않음. 현실주의자들의 인식.

 

세계(WORLD): 비국가행위자, 초국가행위자를 강조하는 자유주의, 사회주의의 인식.


무정부상태(anarchy)란?

- 국제정치라고 보면 됨. 상위 권위체가 없음. 그래서 개별 국가의 독자적 생존 원리가 작동. 개별 국가는 기능적 유사성을 보임.

 ex. EU를 떠올리면 됨.

 

cf. 반대되는 개념 Hierachy는?

- 국내정치라고 생각하면 됨. 위계구조 있는 상태. 즉 상위권위체(정부)가 존재. 개별 단위들은 안전(생존)을 보장받고 기능적 차별화가 이루어짐.

 ex. 미합중국을 떠올리면 된다. (상위권위체: 연방정부)

 

 

- 현실주의자들이 생각하는 무정부상태: Lack of protection (보호부재)

- 자유주의자들이 생각하는 무정부상태: Lack of enforcement (집행력부재)


○ 무정부상태에 대한 이론별 해법

 

1. 현실주의자: 무정부상태는 곧 전쟁상태다. 따라서 내가 군사력을 키워 내 안전만 지키면 된다.(개별국가의 의지로 해결) 무정부상태는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2. 자유주의자: 무정부상태에선 국가 간의 규범과 규칙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제도화해야한다.

 

3. 구성주의자: 무정부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관념과 지식을 변화시키는게 중요하다.


○ 구성주의의 무정부상태 구분

 

구분 정체성 국가들의 목적 안보장치
홉스식 적(적대감) 생존 자력구제와 동맹
로크식 경쟁자(경쟁) 공존 집단안보
ex. UN의 집단안보
칸트식 친구(우정) 영구평화 협력안보
ex. OSC

 

 


SECTION 2: 국제정치학의 역사

 

○ 국제정치학에 관한 논쟁

 

Debate1 (1940-50) 이상주의 vs 현실주의

=> 현실주의 勝. 현실주의로 패러다임 전환됨.

 

이상주의자들은 이성적인 인간은 선한 본성을 갖고 제도를 통해 무정부상태를 제거할 수 있다. 극복가능한 문제다. 전쟁이 발생하면 집단안보제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상하위 정치의 구분이 의미없다. (ex. 석유문제 중요성=안보문제)

 

그러나 현실주의자들은 인간은 권력추구 본능과 지배욕구가 있다. 무정부상태에서 생존하려면 군사력을 키워야한다. 전쟁은 반복된다. 따라서 전쟁에서 이기려면 제일 먼저 자기방어능력을 키우고 동맹이 중요하다. 상하위 정치가 구분됨. (ex.군사안보-1순위, 경제문제-2순위, 사회,문화-3순위)

 

 

Debate2 (1950-60) 전통주의 vs 행태주의: 방법론

=> 행태주의 勝. But 압도적으로 전통주의를 몰아내진 못함.

 

전통주의(질적 접근): 특정 사회를 문화적 맥락만 봐야한다. → 이해, 묘사

행태주의(양적 접근): 패턴화를 할 수 있다. →조직, 객관화

 

 

Debate3 (1990-) 실증주의(경제학)/신현실/신자유주의 vs 탈실증주의

- 탈실증주의이론

 

1. 인간은 진보하는가? 아니오. 발전가능성은 하나의 계획에 불과. 실패할 수 있다.

2. 지식은 객관적인가? 아니오. 사실과 가치는 분리되기 어렵다.

3. 누구의 지식인가? 누구의 지식인가가 중요. ex. 페미니즘에서 여성 cf. 실증주의에선 객관적 이성에 의한 객관적 지식의 존재와 확보 가능.

 

 

  실증주의이론 (ex. 신현실주의) 탈실증주의 (ex. 구성주의, 해체주의, 페미니즘, 비판이론)
이성 합리적 이성(경제적 이성)
이성에 의한 진리 발견 가능
성찰적 이성(사회적 이성)
이성에 의한 진리 발견 가능성 회의
단, 구성주의는 진리 발견 가능성 인정
이익 외생적 이익의 규정/ 이익의 보편성
이익은 외부에서 미리 지정된 대로 계산됨. 모든 국가는 일정한 이익(생존과 자주국방)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함.
내생적 이익의 규정/ 이익의 특수성
이익은 다른 행위자와의 정체성 속에서 만들어짐. 따라서 어떤 것이 중요한지는 행위자들 사이의 관계와 맥락에 따라 내부적으로 구성됨.
지식 객관적 이익에 의한 객관적 지식의 존재와 확보가능 누구의 지식인가가 중요하게 됨
사실과 가치 사실과 가치는 분리됨. 객관적으로 사실만 분석하는 것이 가능. 사실과 가치는 분리되기 어려움. 국제정치에서도 규범적 고려가 필요.
근대의 발전가능성 근대는 점직적으로 발전 가능함. 근대의 발전가능성은 하나의 계획에 불과함. 실패할 수 있음.

 

 

- 신현실주의는 이익이 외생적(외부에 의해)으로 규정된다. =신자유주의도 동일. 둘 다 경제적 합리성에 기반해서 외생적으로 주어진 이익을 개체들이 최대화하는 방식을 취한다.

 다만, 신자유주의가 이익을 좀 더 넓게 규정하고 있다. ex. 경제적 이익에서 공공재가 중요하다는 주장. 또한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익이 높아지면 국가들의 협력이 용이해 진다.

반면, 구성주의는 이익이 행위자간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행위자들 사이에 규정된다는 점에서 내생적인 이익을 주장.

 

신현실주의, 신자유주의 = 외생적 이익규정

                                   vs

                구성주의 = 내생적 이익규정

 

 


SECTION 4: 분석수준의 문제

 

1. K. Waltz (케네스 왈츠)

- 분석수준을 '이미지'라는 용어를 사용해 구분함. (『Man, the State and War(1959)』에서)

 

· 이미지 ①: 인간(개인, 지도자)

· 이미지 ②: 국가(자체의 속성)

· 이미지 ③: 국제체제

 

- 세 가지 이미지를 통해 국가가 왜 전쟁으로 가는가, 즉 국가의 행동동기를 설명함.

 

- 국제체제의 중요성 강조 (구조→국가)

 

 

cf. K. Boulding(케네스 볼딩)

- 이미지를 고정되지 않은, 변화할 수 있는 존재로 봄.

 

 

2. A. Wendt (알렉산더 웬트)

- 구조와 개체는 상호적으로 구성된다.

 

 

3. R. Putnam (로버트 퍼트넘)

- 양면게임(two-level game, win-set) 제시.

 

 Level 1: 국가간 수준 (국제정치)

 Level 2: 국내사회세력간 (국내정치 ex. 정부가 민간 설득)

 

- 국내 협상과 국가 간 협상을 동시에 설명함.

 

- Track 1.5 (반관반민): 비정부 민간차원의 다자안보 대화체/ 정부간 공식적인 대화는 아니고, 정부의 대표가 민간회의에 참석해 하는 발언.

 ex. CSCAP(Council for Security Cooperation in the Asia Pacific아시아태평양안보협력회의)

 

 


SECTION 5: 국제정치의 주요개념들

 

권력(power)  vs  능력(capability)

 

· 권력= 물리적 힘(force) + 정당성(legitimacy)

· 능력: 잠재력을 가용하게 만드는 것. (수단적 개념)

 

- 권력의 핵심: 배분문제. 국제정치에서 효용과 이익을 배분할때 상위권위체가 없기 때문에 국가 권력에 따라 배분이 결정됨.  ex. 힘 있는 국가가 더 많이 가진다.

 

- 권력에 대한 시각 구분

권력 수단설(왈츠)  vs  권력 목표설(모겐소)


○ 권력의 유형

 

[개체적 권력 vs 구조적 권력]

 

 

- 개체적 권력: 개체의 의도에 의해 권력 행사 (관계적 권력, A→B)

 ㄱ. 1차원적 권력(강제적 권력):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원하지 않는 것을 하게 하는 능력

     ex. 군사력, 경제력

 

 ㄴ. 2차원적 권력(숨겨진 권력, 반결정적 권력, 메타권력): 국제레짐에서 의제를 넣거나 빼는 능력

     ex. 국가의 지위, 협상력

 

 ㄷ. 3차원적 권력(연성권력, 포섭적 권력): 선호를 통제, 변화하는 능력

     ex. 문화, 이념과 가치관, 대외정책

 

 

- 구조적 권력: 개체의 의도와 관계없이 작동하는 권력

 ex. 1965년 미국 Great society (복지정책 강화)→ 실질소득↑→ 소비↑→미국제품 및 해외제품↑→ 수입↑

  독일: 수출↑→ 인플레이션 심해짐→ 고통받음.

 => 미국이 의도하지 않았지만 미국이 가진 자본주의 시장의 힘 때문에 독일이 고통받음.


비대칭적 상호의존

- 상호의존의 비대칭성이 권력을 구성함. 민감성이 증대하여 국가와 비국가 행위자간 관계가 증대한 상태에서 취약성이 낮은 쪽이 권력을 보유함.

 

여기서, 취약성이란? 정책 변경시 대처할 수 없는 능력

 

즉, 민감성이 높은 상태에서

- 취약성이 낮으면 권력자

- 취약성이 높으면 피권력자


스마트파워: 경성권력+연성권력 →여기서는 리더쉽이 중요.


○ 저력(Longtail effect)

: 사회 기층민이 가진 권력으로 사회 상층부를 흔드는 힘. ex. 아랍의 봄 (2000년대에는 문자로, 2010년에는 SNS로.)


○ 한국의 구사전략

 

- 한국은 지정학적 조건상 주변강대국들에 둘러싸여 경성권력 확보와 경쟁에는 한계가 있음. 따라서 연성권력 강화 필요. (보완해서) 중견국가→ 공공외교→ 문화/기여외교 (→ODA, PKO)


연성권력과 스마트권력  by. J. Nye(조셉 나이)

 

명칭 특성과 자원 중요사항
연성권력 권력 특성 3가지(행위자의 다양성, 자원의 다양성, 비경합성)
권력자원 3가지(문화, 이념과 가치관, 정책)
구조적 연성권력(가치관+문화)
개체적 연성권력(정책자원)
스마트권력 권력의 자원간 결합방식
(연성권력: 잠재적 테러리스트관리+경성권력:테러리스트에 사용)

권력의 사용방식(리더십에 의한 결정)
스마트파워의 5가지 방안
① 동맹과 파트너와 제도 강조
② 국제개발
③ 공공외교 강조
④ 경제통합 강조
⑤ 기술과 혁신

 


○ 현실주의 이론들 권력 비교

 

현실주의 명칭 강조권력 권력구성요소
고전적 현실주의 권력(power) 모겐소의 9가지 구성요소
1. 유형적 요소: 지리, 자연자원, 공업능력, 군비, 인구
2. 무형적 요소: 국민성, 국민의 사기, 외교의 질, 정부의 질
→ 무형적 요인을 권력에 포함시킴.
신현실주의 능력(capability) 행태주의적 권력으로 측정 가능한 권력+실제 가용한 권력
- 능력의 구성요소 3가지
① 군사력 (군사비, 군사력 배치상황)
② 경제력 (GDP, 철강 생산량)
③ 인구 (전체인구, 도시화비율)
방어적 현실주의 군사적 능력(military capability) 군사력을 공격무기와 방어무기로 구분.
군사력을 변화시킴으로서 안보딜레마를 완화할 수 있음.

 


○ 권력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

 

쟁점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권력 기반 경성권력 중심 경성권력+연성권력 지식권력과 담론
(권력 해석이 쟁점)
이슈간 권력 이슈의 위계성(상위정치와 하위정치 구분)
군사력의 fungibility(대체가능성)
이슈간 서열부재(대등)
군사력의 fungibility 부재
Issue 해석이 중요
권력 주체 국가가 주도 국가와 비국가 행위자 국가와 구조 동시 고려
특성 강제적 속성 영향력의 속성과 분석 지식권력

 

* Fungibility (대체가능성)이란?

: 군사력을 사용하여 경제적 문제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현실주의자들은 군사력이 경제문제와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봄. But 자유주의자들은 정치와 경제가 분리되어 있어 군사력은 군사영역에서만 사용가능하다고 봄.


워싱턴 컨센서스  vs  베이징 컨센서스

 

명칭 배경이론 중심국가 경제운영주체
워싱턴 컨센서스 자유주의 미국 시장
베이징 컨센서스 중상주의 중국 국가

 

 

- 중국은 연성권력 중 구조적권력(이념 제시, 문화제시가능성)은 부족하고/ 개체적권력(외교정책활용)은 개도국만을 중심으로 작동함. (선진국가들에겐 작동 X)


국제체계와 무정부 상태

 

· system = 구조(structure) + 상호작용(interaction)

 

1. K. Waltz (케네스 왈츠)

- 왈츠는 위 시스템에서 상호작용은 빼고 구조만 보고 설명.

 

- system= 구조(structure) => 질서의 배열원리(ordering principle) + 단위의 특성(character of units) + 능력의 분포상태(distribution of capability)

 

cf. 다른 학자들의 입장

- 저비스(방어적 현실주의): 무정부상태는 존재한다. 그러나 기능은 없다.

- 미어샤이머(공격적 현실주의): '무정부상태+불신+무장'이 공포를 일으켜 행동을 하게 만든다. 여기서 무정부상태는 다른 요인들과 합쳐져서 기능이 생긴다.

- 마이클 도일(민주평화론): 무정부상태는 중요하지 않다. (무정부상태를 거부) 즉 기능도 없다.

- 알렌산더 웬트(구성주의): 무정부상태는 존재하고 기능도 있다. 무정부상태 자체가 변화한다고 설명함.

 

 

2. J. Nye (조셉 나이)

- system= 구조(structure) + 과정(process)

 

- 과정적 요인(국가들의 관계)가 국제정치를 변화시킨다고 주장.

 

- 과정: 행위자간 상호작용의 패턴과 종류를 의미함.

과정= 체제의 구조(극성에 따른 외교의 유연성) + 문화적 제도적 배경(국가들의 협동의 동기와 능력을 결정) + 국가의 목적과 수단(혁명적인가 온건한가 여부/ 현상유지세력인가 현상타파세력인가의 여부)

 

 

3. A. Wendt (알렉산더 웬트)

 

- system= 구조(structure) + 관행(practice) + 담론, 지식, 규범

이 중 담론, 지식, 규범에 의한 인식구조. 즉 아이디어나 문화 등의 관념적 요소가 중요하다고 봄.

 


극성논쟁

  - K. Waltz의 체계특성 구분

 

① 단극: 과잉확장(견제 부재로 과도한 확장)

② 양극: 과잉반응(라이벌 관계)

③ 다극: 부주의(강대국간 다양한 관계로 견제력 부족) → 동맹안보딜레마가 생김.


T. V. Paul의 3가지 균형방식

Hard balancing: 강대국→ 패권

- 패권국가의 국력에 대응하여 견제를 위한 힘의 증대

- 균형화의 내용

 ㄱ. 내적균형화: 군사력증대- 자주국방

 ㄴ. 외적균형화: 동맹 형성

 

Soft balancing: 강대국→ 패권

- 패권국가의 패권증대에 대응

- 균형화의 내용: 경성균형을 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

 ex. 제한적 군사협력, 경제협력, 영토이용에 대한 거부, 국제기구를 활용한 거부권사용

 

③ Asymmetric balancing: 약소국+비국가행위자→ 패권/강대국

 - 패권국가에 위협을 통한 균형화

- 균형화의 내용: 위협정책으로 대량살상무기와 테러리즘의 사용


○ 국가에 대한 입장

 

① 현실주의 국가관

  : 국가는 주어진 것/ 국가=정부=지도자 / 국가이익(안보>경제>사회>문화)

(국가중심적)

 

② 자유주의 국가관

  : 인간이 국가를 만듬/ 다원적 국가 / 국가이익=특정집단이익

 

③ 마르크스주의 국가관

  : 자본보유여부가 계급 결정/ 국가이익=계급이익

(부르주아 vs 프로레타리아)

- 도구적 맑시즘: 국가는 자본가(부르주아) 이익증대 위한 도구

- 구조적 맑시즘: 국가는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국가이익

- 국가의 구체적인 행동목표이자 설명방식.

 

- 국가이익에 대한 이론별 관점

쟁점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범위 협소한 국가이익
(자국의 이익만 중요/ 원자적 국가)
확장된 국가이익의 범위
(공공재도 국가이익/ 사회적 국가)
정체성에 의한 국가이익구성
국가이익에 대한 간주관적 해석
이슈 군사력중심의 국가이익중요.
경제적 이익은 국력에 도움이 됨
(안보외부효과)
이슈의 서열부재.
정치·경제·사회부문의 국가이익 모두 중요(안보외부효과 부재)
범위제한은 곤란.
주체 전문가 중심주의
(지도자와 외교관리의 자율적인 결정)
민간부문이 중요
(민주주의국가는 국민 요구가 반영되어야 함)
국가의 정체성이 문제
판단근거 이중 도덕
(국가의 도덕기준은 국내도덕기준과 다름)
국가가 규율하는 근본적인 규범있음
ex. 인도적 개입
규범존재. 단 규범도 구성되는 것.

 


○ 이익균형론 by 랜달 스웰러

- Power ≠ threat ≠ interest

- 국가들이 이익(성향)에 따라 균형을 잡을 수 있다는 이론.

 

A. 획득가치/보유 - Status Quo(현상유지, 안보극대화)

B. 미획득가치/ 획득 - Revisionist(현상타파, 권력극대화)

 


Governance는 국가와 다른 행위자들이 주권을 공유하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 (합의) - 자유주의(기능적 주권 강조)

  vs

Government는 국가가 단독으로 사안을 관리 - 현실주의


민족에 대한 접근

 

1. 시원론적 접근: 역사, 문화, 언어, 혈통 등 객관적 조건에 의해 민족 구성  ex. 독일

2. 근대화론적 접근: 정치적 판단과 결정에 의해 민족 구성  ex. 영국, 미국, 프랑스


Ethnie(족; 문화적 의미의 공동체)가 → Nation(정치적 공동체)가 됨.

Race(인종): 생물학적 특성


○ 민족주의와 외교정책

 

1. 관심전환 가설: 외부에서 희생양(적)을 찾아내고 위기를 증폭시킴

 

2. 구조균형이론: 친구의 적은 적, 적의 적은 친구/ 민족문제를 통해 상대방과의 외교관계를 해결하고자 함

 ex. 민주당은 북한에 호의적, 한국당은 민주당과 적 한국당은 북한과 적

 

해러리(F. Harary)의 구조균형론(Structural Balance Theory): 국가가 심리적 경향을 맞춘다는 이론. 나의 친구와의 관계를 (+)라고 긍정적으로 보면 그 친구의 친구사이도 (+)가 되기 때문에 나와 내 친구의 친구는 (+)로 긍정적 관계가 된다.

  ex. 포클랜드 전쟁에서 미국은 우방인 영국과 아르헨티나의 전쟁에서 아르헨티나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부정함으로서 심리적인 경향을 맞추었음.

 

3. 위기시 지도자 중심결집 모형


민주화과정 위험론과 민족주의 by 잭 스나이더(Jack Snyder)

: 민주주의가 평화를 만든다. 권위주의 체제가 민주주의로 바뀌려면 민주화 과정을 거치는데 심하면 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다. 특히 과두제 국가(소수의 사람이 정치권력을 독점하는 정치의 한 형태)에서 민족주의를 사용하면 위험.

 

민주주의, 1인독재, 과두독재 중 과두독재가 제일 위험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