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Ⅳ. 자유주의 이론
SECTION 4: 상호의존이론- 1970년대 이론
* 봐야할 것
1. 이론 내용과 개념
- 민감성 상호의존과 취약성 상호의존
2. 레짐의 의미
○ 논리구조
1) 상호의존이론 vs 고전적 현실주의
초국가 vs 국가
2) 상호의존이론 vs 종속이론(Marx)
inter-dependence vs 착취(종속, dependency)
3) '상호'의존이 둘로 나뉨.
Asymmetric(비대칭적) 상호의존 vs Symmetric(대칭적) 상호의존
4) Asymmetric 상호의존은 민감성과 취약성으로.
현실주의로 설명하지 않고 자유주의로 설명할 수 있다. →복합적 상호의존이라는게 있다. 즉 현실주의를 부정하진 않았지만 복합적 상호의존을 가지고 보는 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복합적 상호의존은 두 개로 나뉜다. → Asymmetric 상호의존과 Symmetric 상호의존.
Asymmetric 상호의존이 중요하다. Asymmetric 상호의존은 민감성이 높을 때 상호의존이 높아진 것이다. 그 상태에서 취약성이 asymmetric한 걸 결정한다. (민감성이 놓아진 상황에서 취약서이 낮은 행위자가 취약성이 높은 행위자에 대해 권력을 갖는다.)
민감성은 정책변경 이전에 치루는 대가, 즉 교류가 늘어나면 민감성도 높아진다.
취약성은 정책변경 이후 그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을 말한다.
→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지면 취약성이 높은 것.
→ 협상력은 민감성이 높아졌을 때 취약성이 낮은 나라가 협상력이 높다.
· 2가지 반박
Q1. 복잡하게 만든 상호의존이론으로 자유주의자들은 현실주의자 어디를 공격하고 싶었을까?
→ 군사력 중심의 권력론. 권력의 핵심은 비대칭적 상호의존에 있는데.
Q2. 종속이론을 왜 공격하고 싶었을까?
→ 종속이론에 따르면 일방적으로 한쪽이 한쪽을 착취하는 관계. 그런데 그게 아니라 누가 누군가에게 의존하는데, 다만 차이가 있다면 누가 덜 더 의존하느냐만 차이가 있다.
○ 의존과 상호의존
- 의존: 어떤 외부의 힘에 의해 결정되거나 심대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 상태
- 상호의존: 양쪽 모두 영향을 주고받는 상태
- 비대칭적 상호의존과 권력
: 비대칭성에 권력이 있음. 특히 민감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취약성이 낮은 행위자가 취약성이 높은 행위자에 대해 권력을 가짐.
○ 상호의존과 권력
→ 2가지 Ideal type 있음.
· 복합적 상호의존(자유주의) vs 총체적 권력모형(현실주의)
현실주의 국제체계 | 복합적 상호의존 국제체계 | |
정치의제의 변화원인 | 총체적 권력구조 | 문제영역 내의 권력구조, 국제조직, 경제과정 기술혁신 |
행위자 |
국가가 국제정치의 중심 국가는 단일하고 합리적 |
국가이외에 국가 간 연대, 이익집단 등 초국가적 행위자 출현하며 이들의 비중 증대 |
정책서열 | 최상의 가치: 국가안보 (정책서열 존재) |
의제: 서열 부재(정치와 경제영역의 혼재) 상하위 정치 간의 구분 소멸 |
권력의 대체성 | 군사력은 군사적 국가안보뿐 아니라 다른 부분의 권력자원도 창출하는 원리. (권력의 대체성) | 상호의존의 심화로 전쟁의 대가가 증대하고 권력의 대체성 하락 |
국제기구의 비중 | 적음 | 많음 |
- 2가지 상호의존
1) 민감성 상호의존: 정책 변경시도 전에 변화를 꾀할 수 없는 상태. 새로운 정책마련 이전에 외부변화에 치러야 하는 대가.
2) 취약성 상호의존: 정책변경 후에도 변화를 꾀할 수 없는 상태. 새로운 정책 이후에도 치러야 하는 대가.
ex. 강대국: 취약성이 적은 나라를 의미.
- 민감성과 취약성
1) 민감성: 관계증대로 인해 발생하는 의존효과. 정책변경 시도 이전에 치르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
관계의 증대 → 민감성↑
2) 취약성: 관계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생기는 의존효과. 정책변경 이후 치르게 되는 비용. '
○ 국제정치를 설명하기 위한 4가지 모델
1. 경제과정모델: 경제적 협상을 중심으로 하는 모델.
2. 총체적 구조 모델: 상대적 군사력과 군사력의 변화가 모든 부문에 있어서 협상의 결과와 레짐의 변화를 결정함.
3. 이슈를 중심으로 하는 모델: 특정 이슈영역은 나름의 특정한 권력 구조를 가짐. 특정 이슈영역에서의 협상결과와 국제레짐을 결정.
4. 국제기구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모델: 초국가적 연계망과 연계망 내 국가 간 연합과 같은 특정의 협상전략이 국제레짐의 운영을 지배. / 표결권, 연합의 형성능력, 엘리트 연계망의 통제 등과 같은 기구와 관련이 있는 변수로부터 레짐의 변화와 협상결과 도출.
2번은 현실주의에서 설명/ 3, 4번은 신자유주의로 넘어감 → 80년대 체계화됨. (제도론)
○ 국제 레짐(International Regime)
- 레짐(Regime)이란? (S. Krasner 정의)
: 국제관계의 ① 특정 영역에서 행위자의 ② 기대하는 바가 수렴되는 ③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규범, 원칙, 규칙, 의사결정 절차의 일체
① 원칙: 다양한 쟁역에서 국가정책의 정향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믿음
② 규범: 일반적인 권리와 의무라는 관점에서 정의된 행위의 준거
③ 규칙: 무엇을 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한다는 구체적인 명령과 금지
④ 정책결정절차: 집단적인 선택을 하고 이러한 선택을 이행하려는 일반적인 관행
- 국제 레짐에 참여하는 국가들은 그들의 국가이익을 위한 자발적인 참여를 함.
- 국제 레짐을 제도화하려는 노력이 국제 제도주의, 신자유주의를 불렀다.
- 레짐의 역할: 교섭의 장, 정보의 공급처
*주의: 크라스너는 현실주의이론가. 현실주의 입장에서 레짐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분석하기 위해 레짐을 정의함.
○ 자유주의 주요 이론들의 정책방안 비교
이론 | 주요 변수 | 정책 방안 |
상호의존 이론 | 민감성 상호의존과 취약성 상호의존 | 경제교류의 증대 bonding 정책 혹은 penetration정책(국내지지 세력 확보) |
신자유주의 이론 | 제도와 상호주의 전략 | 제도구축/ 상호주의 전략 활용 |
민주평화 이론 | 민주주의 제도와 규범 | 민주화 지원 |
'국제정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정치 #2-6. 신자유주의: 1980년대 이론 (0) | 2019.11.12 |
---|---|
국제정치 #2-5. 양면게임이론 (8) | 2019.11.10 |
국제정치 #2-3. 외교정책결정이론: 1960년대 이론들 (2) | 2019.11.07 |
국제정치 #2-2. 통합이론(기능주의/신기능주의) (0) | 2019.11.05 |
국제정치 #2-1. 자유주의의 중요내용 (0) | 2019.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