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학
[국제정치] 미국과 이란 관계
:·D
2020. 6. 16. 15:51

지금 모습을 보면 전혀 상상이 안 가지만, 미국과 이란은 서로 동맹이었다. 어쩌다가 미국과 이란은 동맹관계가 틀어졌을까?
미국과 이란 사이에 어떤 일들이 있었나?
시기 | 사건 | 내용 |
1951년 | 모사테크의 국유화 | 이란 총리 모사데크가 석유를 국유화 함. 13원인 원유를 500원에 팔며 폐쇄정책을 펼쳤고, 미국은 이를 맘에 안 들어함. |
1953년 | 팔레비 왕정복고(쿠데타 성공) | 때마침 팔레비 왕조가 쿠데타를 일으킴. 미국과 영국은 팔레비 왕조를 지원하고, 쿠데타에 성공한 팔레비 왕조는 친미 정책을 실시하기 시작. |
1979년 | 이란혁명 | 이슬람원리주의에 입각해 호메이니가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 공화국을 선언함. 이란 신정주의 혁명이라고 불림. 종교국가로 전환함. |
미국 대사관 인질사건 | 팔레비 왕과 왕조가 미국으로 도망가버림. 이란인들이 그들의 신병을 요구하며 미국 대사관을 점거함. 미국인 52명을 인질로 잡고, 444일 점거함. (미국의 자존심을 무너뜨린 사건) |
|
1980-1988년 | 이란-이라크 전쟁 |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이 이란을 침공함. (이란혁명 정권의 타도를 위해) 이 때, 미국은 이라크를 지원함. (그래서 이란의 반미 정서가 더욱 커짐) |
1985-1986년 | 이란-콘트라 사건 | 미국이 이란에게 무기를 비밀리에 판매해서 얻은 자금으로 니카라과 반군을 지원함. (국제법에서는 니카라과 case로 알려짐) |
1990년 | 걸프전 |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발발한 전쟁. (국경분쟁 때문에) 미군을 주축으로 편성된 다국적군과의 전쟁으로 확대됨. + 페르시아 만(Persian Gulf) 지역에서 발생해서 걸프 전쟁이라고 불림. 다국적군이 승리함. |
2002년 | 악의 축 발언 | 미국 대통령 부시가 북한, 이란, 이라크를 악의 축으로 선언함. 이 과정에서 이란의 핵 개발 사실까지 폭로함. |
2015년 | 핵합의 타결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 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
미국 오바마 대통령과 이란간 햅협상 타결됨.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영,프,중,러)+독일+이란 (총 7개국이 합의) 이란이 핵 개발을 멈추면 나머지 국가들이 경제 제재를 풀어준다는 내용임. |
2018년 | 미국 핵합의 파기 | 2018년 5월 8일 미국의 핵합의 파기 선언. 7월 경제제재 재개. |
Q: 트럼프는 왜 일방적으로 이란과의 핵합의를 파기했을까?
A: 이란이 핵을 영구히 포기한다는 조항이 없다는 걸 이유로 들었다. (but 트럼프가 원하는 건 미국과 이란간의 양자 간 협약을 맺는 것임)
www.segye.com/newsView/20200106512901?OutUrl=naver
다시 도는 이란 핵시계… ‘중동 화약고’ 결국 터지나 - 세계일보
이란이 거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 폭사에 대한 초강경 대응책으로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사실상 탈퇴를 선언함으로써 이란 핵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4...
www.segye.com